네팔 깔쌍라마 스님일행- "마정수기" 뿌자법회" 기념촬영. 반야사에서... 네팔 "다르마 센터"에서 오신, "깔쌍라마" 큰스님 일행과 신탄진동 반야사에서 "마정수기" 뿌자법회" 기념촬영 대덕구 신탄진동 "반야사" 대법당 / 2012.06.22. 앞줄...휴정 스님/ 혜관 스님/깔상 라마 스님/법강 스님/무애 스님. 무애스님/깔쌍 라마 스님/혜관스님 반야사 3층, 대법당 마정수기.. ◈佛敎◈Buddha indramang 2012.06.23
인간사어 천청약뢰 , 암실기심 신목여전(人間私語 天聽若雷 , 暗室欺心 神目如電) 일체유심조 外...두들러 신문-최근 글 모음/무애(無碍) 인간사어 천청약뢰 , 암실기심 신목여전 人間私語 天聽若雷 , 暗室欺心 神目如電 人間私語(인간사어)라도 天聽(천청)은 若雷(약뢰)하고 暗室欺心(암실기심)이라도 神目(신목)은 如電(여전)이니라. 하늘은 보지 않는 것 같아도 인간의 .. ◈佛敎◈Buddha indramang 2012.06.20
사랑만 하다, 죽자! 사랑만 하다, 죽자! /李時明 억겁의 유전(流轉) 이끼로 더불어 온, 생명! 시원(始源)의 숲-블랙 홀 암흑을 뚫고, 광년(光年)을 달려 와 명부전(命府殿) 연(緣)줄 잡고, 비로소 태어났다 수미산 넘고 넘어, 삼신할미 손을 잡고 사람거죽 쓰고나와, 풍진 세상 둥지 틀어 얽어지고 섥혀지며, .. ◈佛敎◈Buddha indramang 2012.06.20
수양문(修養文) -<불경佛經>- 卍-수양문-卍 오늘 자신이 빈천하거든 전생에 내가 베풀지 않았음을 알며 자식이 그대를 돌보지 않거든 내 부모를 편히 봉양치 않았음을 알라 남의 고통을 외면하고 악착스레 재물모아 자식 줄라 하였거든 일시에 재가 되어 허망할 때 있을것도 각오하라 상대는 내 거울.. ◈佛敎◈Buddha indramang 2012.06.16
유마경(維摩經) 유마경(維摩經) 언어 문자(言語 文字)는 이 형상의 세계를 떠나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지혜로운 이는 언어와 문자에 붙잡히지 않기 때문에 어리석음과 두려움이 없다. 왜냐하면, 아무리 완전한 언어나 문자라 해도 거기에 집착을 하게되면 영원히 그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 ◈佛敎◈Buddha indramang 2012.06.16
생극락을 모르면 사극락도 없다 돈은 밥과 같은 것이다 무애ㅣ 기사입력 2012/06/05 [17:52]돈은 밥과 같은 것이다. /李時明 돈은 밥과 같은 것이다. 적정량 이상의 밥이 많이 남아 적채되면 이내 썩어 부패하여 악취가 나고 갖은 벌레가 생겨나듯이... 돈이 적정량 이상으로 넘치면, 돈의 순기능 마지노선을 넘어서 점점 탁한 .. ◈佛敎◈Buddha indramang 2012.06.11
◈facebook 개설, 그룹방 / 무애(無碍)..._()_ ◈facebook◈ /무애(無碍) 무법가설무애당(無法可說無碍堂) ◈(페이스 북 그룹방)◈ https://www.facebook.com/groups/299172933481596/ ◈facebook 개설, 그룹방 / 무애(無碍)..._()_오늘 사용함명곡 감상실-LSMBACH Music Hal오늘 사용함무량법보전 (無量法寶殿)오늘 사용함무법가설무애당(無法可說無碍堂)-반야사.. ◈佛敎◈Buddha indramang 2012.05.26
석가 삼존도 (석가 모니불, 문수보살, 보현보살) 석가 삼존도 삼존 : (석가 모니불, 문수보살, 보현보살) 석가 삼존도(석가 모니불) : 중국원 비단에 색 1140x510 일본니손인(二尊院) 일본중요문화재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석가삼존도(보현보살도) : 중국원 비단에 색 1140x510 일본니손인(二尊院) 일본중요문화재 석가 삼존도(문수보살도) :.. ◈佛敎◈Buddha indramang 2012.05.22
[시사칼럼] 폭로전 "진흙탕 싸움"의 한심한 작태 ㅡ폭로전 "진흙탕 싸움"의 한심한 작태 무애ㅣ 기사입력 2012/05/22 [09:43]ㅣ 조회수 28 <시사칼럼>폭로전 "진흙탕 싸움"의 한심한 작태 작금의 세상 작태가 그러하듯이 정치, 경제, 기업, 문화, 종교, 예술, 예체능 방면...등등 기타 여러 다방면에서 ... 무늬만 그럴듯한 천한 상껏들이 버젓.. ◈佛敎◈Buddha indramang 2012.05.22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금강경 사구게 (金剛經 四句偈)》 (1)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릇, 형상이 있는것은 모두가 다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이 형상이 아닌것임을 바로 보게되면, 능히 곧 여래(진리)를 보게 되리라. (2) 不應住色生心 不應住.. ◈佛敎◈Buddha indramang 201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