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천암 혜각존자 신미대사 존영(尊影)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
조선전기의 승려, 유.불학자
1. 내 용
충북 영동에서 부친 김훈(金訓)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유학자이며 숭불을 주장한
김수온(金守溫) 의 형님으로
본명이 수성(守省), 본관은 영산(永山)이다.
처음에 법주사에 출가하여 수미(守眉)와 함께
대장경과 율을 배웠다.
모친의 뱃속에서 나올적부터
모친의 뱃속에서 나올적부터
왼손 손바닥에 임금왕(王)자가 손금에 있어
부모와 삼촌들은 크나큰 걱정이 아닐 수 없었다.
신라때부터 이조에 이르는 동안
신라때부터 이조에 이르는 동안
그런 사람은 나라에 역적이 된다하여
국법에 의하여
잡아 죽였던 것이기에, 죽음을 면할려고
배안 병신 노릇을 아니할 수 없어
항상 손가락을 오그리고
주먹을 쥐고 살 수 밖에 없었다.
어려서부터 인물이 잘나고
어려서부터 인물이 잘나고
평소에 말을 잘하지 않았으나
한번 말을 내놓으면, 청산유수 같았고
눈을 부리뜨면
그 안광에 눌리지 않는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왕이 될만한 기품이 있었고
그리고 왕이 될만한 기품이 있었고
관상학상으로 왕의 기상을 타고 났다고 한다.
두뇌가 총명하여,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았는데
글을 읽어 집현전 학사로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벼슬에 마음이 없고 불가(佛家)에 뜻이 있어
자칭 신미(信眉)라하여 머리깍고 스님이 되었다.
세종26년에 五子 광평대군(廣平大君)을 잃고,
세종26년에 五子 광평대군(廣平大君)을 잃고,
세종27년에 七子 평원대군(平原大君)을 잃었고,
세종28년에 소헌왕후(昭憲王后)를 잃는 등
3년동안에 세분을 잃고, 인생의 허무함과
무상함을 뉘우치던 중...
세종이 병으로 고통 받을 적에
동생 김수온과 함께 세종을 도와
내원당을 짓고 법요를 주관했다.
또한 복천사를 중수하고,
또한 복천사를 중수하고,
그 곳에 아미타삼존불을
봉안했다. 이 공로로 문종은 선교도총섭
(禪敎都摠攝)에 임명 하였다.
문종과 수양대군 등이 세종을 지성으로
문종과 수양대군 등이 세종을 지성으로
시탕(侍湯)하였으나, 효험이 없던 바
신미대사로 하여금 약을 쓰게 하니 완쾌하였다.
그로부터 세종은 신미대사와 가까워 졌고
그로부터 세종은 신미대사와 가까워 졌고
신미대사의 박식(博識)함에 감탄하고
인물됨에 매료되었다.
세종은 신미대사에게
세종은 신미대사에게
혜존각자(慧覺尊者)의 호를 내리려 하였으나
병으로 내리지 못하고 문종에게 유교를 내리니
문종은 선왕의 뜻을 받드려 왕에 오르자
사호(賜號)하니 「慧覺尊者」라 했다.
특히 세조와는 수양시절부터 친분이 두터웠다.
세조는 왕위에 올랐어도
세조는 왕위에 올랐어도
꼭 존자(尊者)라 불렀고, 국사로 모셨으며
세조7년에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하고
신미대사를 우두머리로 효영대군(孝寧大君)과
김수온(金守溫) 등에게 불서를 언해하고
간행함에 100종에 이르렀다.
1456년(세조 2) 도갑사(道岬寺)를 중수하여
1456년(세조 2) 도갑사(道岬寺)를 중수하여
약사여래불상 3구(軀)를 조성·봉안했다.
1458년에 국가의 요청으로
해인사(海印寺)의 대장경을 인출할 때
이를 감독했고,
1461년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간경도감을 설치할 당시 이를 주관했다.
이때 언해(諺解)된 불경이
〈법화경〉〈반야심경〉〈영가집> 등이다.
1464년 왕이 속리산 복천사를 방문했을 때
1464년 왕이 속리산 복천사를 방문했을 때
사지(斯智)·학열(學悅)·학조(學祖) 등의
승려와 함께 대설법회(大說法會)를 열었다.
이 해에 상원사(上院寺)로 옮겨가,
왕에게 상원사의 중창을 건의했다.
신미는 여러 승려의 법어를 번역·해석하여
신미는 여러 승려의 법어를 번역·해석하여
유통하게 했는데, 기화(己和)의
〈금강경설의 金剛經說誼〉를 교정하여
〈금강경오가해설의 金剛經五家解說誼〉 1책을
만들고, 〈선문영가집〉의 여러 본을 모아
교정했으며, 〈증도가 證道歌〉의 주를 모아
책으로 간행했다.
송리산 복천사(福泉寺)를 비롯하여
송리산 복천사(福泉寺)를 비롯하여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월정사(月精寺),
낙산사(洛山寺) 대자암 등을 중신하고
국책으로 처불함에도 소신것 불사에 힘썼으니,
그 공이 지대하였다.
성종10년에 열반에 오르니
성종10년에 열반에 오르니
복천사 남쪽 200미터에 신미부도(信眉浮屠)를
세웠으니, 충청북도문화재 12호이다.
2. 한글 창제의 주역
한글 창제의 산파역할을 한 신미대사,
한글 창제의 산파역할을 한 신미대사,
그가 주지로 있던 복천암은
한글 창제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는 도량이다.
복천암 사적기(福泉庵事蹟記)
"세종은 복천암(福泉庵)에 주석하던
신미대사(信眉大師)로부터
한글 창제 중인 집현전 학자들에게
범어(梵語)의 자음과 모음을 설명하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복천암에서 동쪽으로 난 길을 따라
복천암에서 동쪽으로 난 길을 따라
5백미터 가면, 신미대사
부도탑(보물 제 1416호)이 있다.
세인의 관심을 다시 끌고 있는
세인의 관심을 다시 끌고 있는
세종의 왕사였던 신미대사(1403~1480)가
한글 창제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설은
그동안 종종 제기되어 왔었다.
그동안의 정설은
그동안의 정설은
세종대왕의명령으로 집현전 학자들이
이의 실무 작업을 맡았고, 구체적으로는
우리 입의 발음기관을 본 떴다는 것이었다.
현재 가장 유력시 되는 설은
현재 가장 유력시 되는 설은
범자(梵字) 모방설이다.
조선초기 유학자인 성현(1439-1504)의 저서
용재총화나, 이수광의 지봉유설에서도
언문은 범자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와같이 한글 창제의 주역인
이와같이 한글 창제의 주역인
신미대사 친동생인 집현전 학사-김수온이 쓴
복천보강, 효령대군 문집, 조선실록,
영산김씨 족보등 각종 자료를 근거로
신미대사가 한글 창제의 산파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세종이 한글 창제 후...
세종이 한글 창제 후...
불경을 언해하기 시작한 것도
신미대사의 영향이며, 언해할 서책이 많은데
굳이 불경부터 한 이유는
신미대사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세종이 한글 창제의 초석을 다진
또한 세종이 한글 창제의 초석을 다진
고마움의 표시로 복천암에 삼존불을 조성,
시주했으며 죽기 전에 유생들의 반대도 무릅쓰고
유언으로, 신미대사에게
우국이세 혜각존자(祐國利世 慧覺尊子)라는
긴 법호를 내렸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올라있지 않지만
조선왕조실록에는 올라있지 않지만
신미대사의 속가 집안인 영산 김씨 족보에
스님이 집현전 학자로 세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다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러가지 문헌이나 기록으로 보아
여러가지 문헌이나 기록으로 보아
한글 창제의 모델이 범어가 분명한데
그 당시 범어를 아는 스님은
신미대사 밖에 없었다고 한다.
신미대사가 실제 한글을 창제했다고
신미대사가 실제 한글을 창제했다고
그 사실을 밝힐 수 없었던 것은
숭유억불정책(崇儒抑佛政策)으로
집현전 학자들 중에 반대하는 학자
(최만리,김문,정창손 등)들이 많았으며
한글창제를 극력 반대하는 상소문까지
올리는 상황이었고, 그래서 세종이
한글을 오랫동안 지키고
신미스님을 보호하기 위해서이고
신미대사(信眉大師)에 대한
세종(世宗)의 신뢰가 절대적이었다고 한다.
3. 세조왕과의 인연
조선조 제7대 세조는
3. 세조왕과의 인연
조선조 제7대 세조는
국초의 서정(庶政)을 바로 잡고
만기(萬氣)를 친재(親裁)하기에
영일(寧日)이 없는 사이에
몸에는 지독한 피부병이 걸렸다.
백방으로 손을 썼으나
그야말로 백약이 무효였다.
전날, 보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전날, 보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여러 형제를 해치고 어진 신하들을
학살한 세조는 만년에는
인생의 무상을 느끼고
회오의 길로 침잠하니
외로움과 헌전함에서
정신적인 안식처를 구하려 하였다.
이 때, 생각나는 이가
이 때, 생각나는 이가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대사(信眉大師)였다.
신미는 도학과 학식이 뛰어난 당대의 도승이자
학승으로서 복천사에 주석하고 있었다.
신미대사의 초청은 받은 세조대왕은
신미대사의 초청은 받은 세조대왕은
天順 8년 2월 28일에
신숙주 이하 많은 신하를 대동하고
청주서 2박을 하고 장재리를 거쳐
말띠재를 넘어 큰소나무 아래까지 당도하였다
바로 길옆에는 2등변 3각형의 아름드리
바로 길옆에는 2등변 3각형의 아름드리
낙낙장송이 가지를 길위에 드리우고 있어서
왕이 탄 연의 꼭지가 아마도 걸릴 것만 같았다.
이때, 대왕은 연 위에서 손으로 늘어진
이때, 대왕은 연 위에서 손으로 늘어진
소나무 가지를 가리키며
「아! 저가지 아! 저가지」이렇게 외치자
그 순간, 늘어진 가지가 위로 처들었다 한다.
그 순간, 늘어진 가지가 위로 처들었다 한다.
왕은 신통히 여겨
즉석에서 정2품의 벼슬을 주었다.
그래서 이 소나무를
정2품송 이라 지금도 부르고 있다.
정이품송을 지나 복천사에 도착한 왕은
정이품송을 지나 복천사에 도착한 왕은
신미대사가 주재하는 법회에 의지하여
티끌세상에 물든 자신의 심신이
부끄러움을 깨닫고, 또 한편으로는
무한한 법열을 느꼈다
이는 신미대사의 무변의 법력과 도심으로
제도한 까닭이다.
세조와 신미대사와는
세조와 신미대사와는
수어지교(水魚之交)로서 평생을 은혜롭게 지냈다.
복천사 법회를 마치고 아쉽게 떠날무렵
신미대사는 세조대왕에게 청원을 하기를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에는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에는
부처님(석가여래)정골사리를 모신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있는데
오랜세월로 심히 퇴락하여
민망한 지경에 있으니
대왕께서 이보궁을 중수하시면,
그 공덕이 헛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간청하자 세조는 쾌히 승낙하여
이렇게 간청하자 세조는 쾌히 승낙하여
이에 바로 학열(學悅)스님을 상원사로 보내어
중수를 마치고, 6월에 낙성식을 가졌는데
이때, 신미대사는 상원사에서
세조대왕을 초청하였다.
때는 5.6월 염천이라
때는 5.6월 염천이라
날씨가 찌는 듯 하였고
대왕의 온몸은 피부병에 덮여
이때 더욱 악화되었다.
이 사정을 누구보다도
신미대사가 잘 알고 있었기에
왕을 초청한 것이다.
낙성식에서 진종일 땀을 흘린 대왕은
낙성식에서 진종일 땀을 흘린 대왕은
밤이되자 절에서 마련한 목욕장소에 들어가
몸을 씻는데, 옥같은 석간수에 들어가니,
전신이 녹아 내릴 것같이 시원하였다
그리고 나이 어린 동자가
그리고 나이 어린 동자가
느닷없이 들어와서
고운 두손으로 등을 문지르니
심신이 날아갈 듯 쇄락하였다.
더욱 고마운 것은 나이어린 동자였다.
그래서 세조대왕은
그래서 세조대왕은
등뒤에 있는 동자에게 나즉이 말을 건냈다.
「애, 동자야~!
「애, 동자야~!
너 어디사니 이렇게 고마운데가 있나...!」
「고맙긴요~!
저는 이 절에 살고 있어요. 대왕님」
「아, 그래~ 내가 너한테 부탁할 것이 있는데
꼭 들어주겠나? 약속해...」
「예 대왕님, 어느 존전이라고
대왕님의 부탁을 마다하겠습니까?
무엇인지 하교하옵소서. 대왕님」
「참으로 기특하구나~
나의 부탁은 다른 것이 아니고
나의 몸에 손을 댔다는 말을
남한테 절대로 하지 말아라 이것이 부탁이다」
세조왕의 이 말은 중대한 깊은 뜻이 있엇다
세조왕의 이 말은 중대한 깊은 뜻이 있엇다
신하된 자가 왕의 옥체에 손을 대면
극형에 처하는 법이 있기에
동자의 신상이 염려되어 한 말이다.
그러자 동자는 대왕을 향하여
그러자 동자는 대왕을 향하여
저도 대왕님께 청이 있으니
꼭 들어달라고 한다.
세조왕은 나이도 어리고 조금만 놈이
세조왕은 나이도 어리고 조금만 놈이
청이 있단 말이 하도 귀엽고 앙징스러워서
그래~너의 청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동자는 태연히 하는 말이
그러자 동자는 태연히 하는 말이
「대왕님께서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이 현신(現身)하여
뒤에서 몸을 문지렀다는 말을
절대로 하지마세요. 꼭 약속이요」하였다.
세조왕은 깜짝놀라서 뒤를 돌아 보니
세조왕은 깜짝놀라서 뒤를 돌아 보니
동자는 온데간데 없고,
몸의 부스럼이 이 때부터 치유가 되었다.
세조대왕은 신미대사의 도력에 힘입어
세조대왕은 신미대사의 도력에 힘입어
복천사에서는 세조왕이 목욕했던 당시에
현신했던 문수보살의 상이 모셔져 있다.
4. 신미대사의 자비와 도력
보은 속리산에는 법주사란 이름 높은 절이 있고
보은 속리산에는 법주사란 이름 높은 절이 있고
이 절에 고명한 스님들이 주석하였기에
이 절의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혜각존자 신미대사가 한때 이 절에 주석하여
면벽관심(面壁觀心)으로 불도에 정진하고 있을때
있었던 일이다.
어느 겨울날 밤에
어느 겨울날 밤에
이 절의 중진급 스님 3.4명이
헐레벅떡 정신없이 신미대사의 수도장에
문을 두드리고 뵙기를 청하였다.
내용인즉 이러하다
내용인즉 이러하다
도둑 20여명이 벌떼같이 절에 침입하여
젊은 중들을 묶어놓고, 장차 창고를 털 기세이니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높은 스님 신미대사 의 지시를 받으러 온 것이다.
이 놀랍고도 끔찍한 말을 전달한 스님들은
이 놀랍고도 끔찍한 말을 전달한 스님들은
사시나무 떨듯 몸을 떨며
더 이상 말도 제대로 못했다.
이런 뜻밖의 일을 당한 신미대사는
눈하나 깜박하지 않고 태연히 말을 했다.
이런 칠칠찮은 것들, 떨기는 왜 떨어!
이런 칠칠찮은 것들, 떨기는 왜 떨어!
도둑이 떨 일이지, 주인이 왜 떠느냐?
이렇게 꾸짖고는 명령을 내렸다.
모든 창고의 문을 활짝 열어놓고
모든 창고의 문을 활짝 열어놓고
마음대로 다 가져가라고 했다.
이 법주사는 토지가 많아서
일년에 천여석의 수확을 할뿐아니라
비단과 무명 기명과 잡화가 창고에 많았다
이 말을 들은 도둑들은
이 말을 들은 도둑들은
마음놓고 콧노래를 부르며
쌀이며 비단이며 무명이며 기명등
닥치는 대로 멜빵이 끊어지도록
힘껏 짊어지고 도망을 쳤다.
긴긴 겨울밤이 보얗게 새도록
긴긴 겨울밤이 보얗게 새도록
구슬땀을 흘리며
허둥지둥 도망을 쳤는데,
이것이 웬일인가?
밤새도록 죽을 힘을 다하여 도망을 쳤건만
법주사 경내를 벗어나지 못했다.
결국 밤새도록 법주사만 뺑뺑 돈 셈이다.
결국 밤새도록 법주사만 뺑뺑 돈 셈이다.
신미대사의 도력에 잡힌 것이다.
이에 놀라고 당황한 도둑떼는 겁에 질려
이에 놀라고 당황한 도둑떼는 겁에 질려
솜같이 나른한 몸을 이끌고
신미대사 앞에 나가서
살려달라고 애원을 하며 용서를 빌었다.
그러자 신미대사는 태연히
그러자 신미대사는 태연히
도둑떼에게 이렇게 말을 했다.
「너희들의 눈을 보니, 모두 착한 사람이다
이 순간이라도 사악한 마음을 버리면
부처가 될 수 있는데, 왜들 이러느냐?
마음을 바로 잡아라」라고
이렇게 순순히 타오르는
대사의 자비로운 얼굴에는 춘풍이 만면하였다
도둑들은 대사의 말에 감동되어
도둑들은 대사의 말에 감동되어
눈물을 흘리며 회개하였다고 한다.
5. 주요 유적지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舍乃里)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舍乃里)
산1-1 속리산소재 복천암
위 복천암 소재, 수암화상부도
위 복천암 소재, 수암화상부도
(秀庵和尙浮屠)(충북유형문화제 제12호)
'◈佛敎◈Buddha indram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수보살(文殊菩薩) (0) | 2012.09.05 |
---|---|
광명진언(光明眞言) (0) | 2012.08.31 |
초발심 자경문(初發心 自警文)/원효(元曉) 대사 (0) | 2012.08.24 |
정본 수능엄경( 正本首楞嚴經 ) 상,하편 (0) | 2012.08.24 |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0) | 2012.08.23 |